google-site-verification=oSCYxs9qSosL6jbhqJvqNQYinVE5aH_kTO5sAnzFPcc 지역항법의 기능, 위성항법 시스템, 운항관리 시스템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역항법의 기능, 위성항법 시스템, 운항관리 시스템

by §☆♣☞☜♬ 2023. 6. 30.

VOR/DME 지역항법의 기능(VOR/DME RNAV Function)

VOR/DME RNAV 시스템의 장점은 주변의 VOR 및 DME 시설 모두의 수신 범위 내에 있는 한 항공기 탑재 컴퓨터가 Waypoint를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찾아진 Waypoint들이 지역 항법 항로를 구성한다. 또한, 사전에 입력된 항로 외에도 항공 교통관제(ATC)가 승인하면 무작위 지역항법 경로를 IFR로 비행할 수 있다. 항로상의 비행뿐만 아니라 VOR/DME 지역항법 접근 절차 항공도도 제공된다. Waypoint 식별을 위한 표에는 Waypoint의 이름, 좌표, 주파수, 식별자, 중심까지의 거리(Waypoint에 대한 항행안전무선시설) 및 기준 항행안전무선시설의 고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최초 접근 지점(IAF), 최종 접근 지점(FAF)및 실패 접근 지점(MAP)이 표시되어 이를 참고하여 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계기 비행 규칙에 따라 항로를 비행하거나 공항에 접근하려면 항공기에 설치된 지역항법 장비가 계기비행을 위해 승인되어야 한다. 수직 탐색(VNAV) 모드에서는 일부 설치의 경우 수평 안내뿐만 아니라 수직 안내가 제공된다. 하강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Waypoint가 선택되고 하강이 끝나는 지점에서 Waypoint가 선택된다. 지역항법 장비는 지상 속도에 상대적인 하강 속도를 계산하며 일부 장비는 지상속도 표시기에 수직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장비 접근법에서 이 유형의 장비를 사용할 때 파일럿은 제공된 수직 안내 정보가 비정밀 접근의 일부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게시된 비정밀 접근 고도는 ATC가 별도로 지시하지 않는 한 준수해야 한다. 지역항법을 사용하여 Waypoint로 가기 위한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VOR/DME 주파수를 선택한다. 2. 지역항법 모드를 선택한다. 3. Waypoint(225 º)를 통과하는 VOR의 각도를 선택한다. 4. DME에서 Waypoint(12NM)까지의 거리를 선택한다. 5. 모든 입력을 확인하고 TO 표시가 표시된 상태에서 CDI 바늘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6. CDI바늘의 중앙을 유지하기 위해 표시된 방위를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로 맞춰 항공기를 조종한다. 7. CDI바늘은 1 도트 당 1NM 거리의 거리를 나타내며 DME 값은 Waypoint에서 거리(NM)를 나타낸다. 지상속도는 Waypoint에 접근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시간은 time-to-station, 즉 Waypoint에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위성항법시스템(GNSS)이란 기본적으로 위성을 이용한 항법시스템을 통칭하는 것으로, 수신기까지 도달하는 고주파 신호의 시간과 거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위성 배열(Satellite constellation)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위성으로부터 다중 신호를 수집하는 수신기는 이들 위성으로부터 삼각 측량을 통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오늘날의 GNSS에는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 유럽의 갈릴레오(Galileo), 이 세 가지가 있다. 1. 러시아의 GLONASS는 GLONASS 사용자가 수신기로 24개의 인공위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2. 유럽의 갈릴레오는 2013년까지 30개의 인공위성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가 고주파 무선 신호를 통하여 시간과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3. 미국의 GPS는 1992년에 24개의 인공위성을 갖추어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30개의 위성을 가동 중이다.

운항관리시스템(Flignt Management Systems, FMS)

FMS(운항관리시스템)는 항법에 사용되는 시설의 종류는 아니다. FMS는 항공기의 탑재 항행 장비 관리의 자동화를 도와 조종사에게 항행의 최적 정보를 제공하는 일종의 항행 지원 시스템이다. 한마디로 FMS는 조종사와 조종실 내 계기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FMS는 공항과 항행안전시설(NAVAID)의 위치 및 관련 정보, 항공기 성능 자료, 항로, DP 및 STAR 등의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컴퓨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FMS는 사용자가 지정한 WP(경로점)를 비롯하여 출발, 도착, 접근, 대체 공항 등을 포함한 수많은 비행경로를 수용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FMS는 항공기의 현재 위치에서 전 세계 어느 지점으로든 원하는 경로를 신속하게 찾아내고, 해당 비행 계획에 필요한 성능을 계산하며, 조종사에게 전체 비행경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제공한다. 또한, FMS는 VOR, DME, 로컬라이저(LOC)등의 항행안전시설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컨트롤할 수 있으며, 이들 장비부터 항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S, LORAN 및 GPS 항행 정보 역시 FMS 컴퓨터를 통한 수신이 가능하다. FMS는 조종사의 탑재 항행장비 사용 시, 필요한 정보의 입력 및 출력 장치로 활용되므로 조종사와 항행장비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